반응형 기준금리2 한국 실질 금리 미국보다 높다 한국의 실질 금리가 미국의 실질 금리보다 높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최근 기업금융 현안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명목 기준금리는 미국이 한국보다 높으나 실질 기준 금리는 한국이 미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것입니다. [명목 기준금리 미국 4.0% > 한국 3.25% / 실질 기준금리 미국 -3.75% < 한국 -2.70%] 보고서에서는 2022년 12월 현재 명목 기준금리가 미국이 한국보다 높은 상황이지만, 2022년 10월 말 기준 실질 기준금리는 한국이 미국보다 높다고 밝히면서, 따라서 국내 국민들과 기업이 느끼는 체감 금리는 미국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산업 전반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 실질 기준금리 : 명목 금리에서 물가상승율을 차감한.. 2022. 12. 9. 기준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금리 이자율 경제지표이해(2) 인플레이션의 대한 대책 중 통화 정책의 가장 강력한 수단으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있음을 '인플레이션'편에서 언급한 바 있습니다. 이번에는 금리에 대해 살펴보고 기준 금리 인상의 세부 내용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금리] 금리(이자율이라고도 합니다)는 돈을 빌린 것에 대한 대가로 지불하는 자금의 가격입니다. 일반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팔 때 가격이 존재하듯이 돈을 빌리고 빌려주는 금융 시장에서도 일종의 가격이 형성되는데 이를 금리 또는 이자율이라고 합니다. 금리도 일반 상품과 마찬가지로 빌려줄 돈의 양이 많으면 떨어지고 적으면 올라갑니다. 하지만 금리는 일반 상품 가격과 달리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대부분의 나라가 금리를 금융시장에서만 결정되도록 놔두지 않고, 정부나 중앙은행이 직접 규.. 2022. 7. 13. 이전 1 다음 반응형